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모으면 최대 50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정책입니다. 매월 최대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입금할 수 있고 5년이 만기인 적금 상품입니다. 혜택을 놓치지 않기 위해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포스팅 진행합니다.
목차
1.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위해 만들어진 정책형 금융 상품입니다. 소득이 있는 19세~34세의 청년이 대상인데요.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습니다. 만기는 5년입니다.
월 70만원을 기준으로 납입하면 만기시 50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정부가 월 납입액의 최대 6%를 지원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시작은 올해 6월부터입니다.
2.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은 올해 6월부터입니다. 접수는 비대면으로 진행된다고 합니다.
3. 청년도약계좌 신청자격조건
가장 중요한 청년도약계좌 신청자격조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총 3가지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1) 청년도약계좌 신청 나이:19세~36세까지 가입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군복무를 할 경우 최대 6년의 군복무 기간에 대해서는 나이 계산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2) 청년도약계좌 소득기준: 총 급여액을 기준으로 6천만원이라고 합니다. 총 급여가 6천만원 이하인 경우는 정부지원금과 비과세가 적용됩니다. 총 급여가 6000~7500만원이면 정부지원금은 지원되지 않고, 비과세만 적용된다고 합니다.
비과세는 세금이 없다는 뜻입니다. 은행에서 적금에 가입한 후 만기시 돈을 찾을 때, 일반적으로는 세금이 붙습니다. 하지만 비과세 상품은 소득세와 주민세를 비롯한 세금이 붙지 않는다는 것을 뜻합니다.
3) 청년도약계좌 중위소득: 중위소득 180% 이하를 충족하면 가입이 가능합니다. 21년도 과세기간의 소득을 기준으로 가입가능 여부를 결정한다고 합니다.
※ 2023년도 중위소득 기준표를 첨부합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위 표는 중위소득 100% 입니다. 결국 자격 조건에 해당하는 중위소득 180% 이하인지 확인해보려면 위 기준대로 다시 계산이 필요합니다. 편리하게 보실 수 있도록 표를 첨부하도록 하겠습니다.
※ 청년도약계좌 중위소득 180% 기준
위 소득 이하라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4. 청년도약계좌 신청 필요서류
청년도약계좌 가입은 비대면으로 진행된다고 합니다. 현재까지로는 별도의 서류 제출은 필요하지 않고, 비대면 본인인증과 소득확인을 통해 가입하는 방안으로 추진 중이라고 합니다. 일부 추가 서류가 필요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정확한 내용은 신청 기간이 다가오면 다시 포스팅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5.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중복
이전에 시행한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는 중복 가입이 안 된다고 합니다. 청년희망적금을 중도에 해지한 경우에는 가입할 수 있다고 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자와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중복 가입 가능하다고 합니다.
'유용한 복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생교육바우처 신청자격 (0) | 2023.04.04 |
---|---|
서울시 청년 교통비 지원 신청 (0) | 2023.03.31 |
신혼부부 매입임대 LH 청약센터 (0) | 2023.03.31 |
특례보금자리론 우대금리 (0) | 2023.03.27 |